삼별초의 항쟁(1270년 ~ 1273년)은 고려, 몽골 전쟁이 끝나고서 삼별초가 원나라에 대항해 일으킨 항쟁으로  삼별초의 대몽항쟁이나 삼별초의 항쟁으로 불리기도 했다.

배경

원래 삼별초는 봉기하기 전에는 고려 조정의 휘하에 있었다. 또한 삼별초는 최 씨 무신정권의 사병 집단이었고 군부독재를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애초 고려 무인 정권의 사병 집단이면서 대몽 항쟁에서 선봉에 섰던 삼별초는 고려와 몽고 사이의 강화와 굴복을 못마땅하게 여겼고 개경 환도가 발표되자 즉각 반기를 들었다. 몽골이 고려를 침략하자 최 씨 무인정권은 1232년에 강화도로 천도하고서 몽골의 침략에 맞섰다. 하지만 기반이 허약한 고려는 잦은 반란에 직면한다.
반란 중 일부는 평정되었지만, 북부 지역의 반란 무리는 몽골로 이탈하고 그 영토는 제국 몽골에 병합되었다. 또한 최씨무인정권이 붕괴당하고 고려 원종과 원종에 기생한 문신을 비롯한 신료들은 제국 몽골에 항복하였다. 그 후 무인 정권에게서 정치권력을 빼앗은 원종은 결국 1270년(원종 11년) 삼별초를 해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배중손이 이끄는 강화도의 삼별초는 제국 몽골에 예속된 고려 원종의 조정에 반기를 들고 봉기를 일으켰다

 

배중손 추대


삼별초의 배중손과 야별초 노영희 등은 항쟁을 결의하였다. 배중손을 지도자로 추대하고 강화도와 육지와의 교통을 끊었으며, 왕족인 승화 후 왕 온을 왕으로 추대하여 관부(官府)를 설치하고 관리를 임명하여 반몽정권을 수립했다.

그러나 이탈자가 속출하여 경계가 어렵게 되자 함선 일 천여 척을 징발하여 강화도의 재화와 백성을 모두 싣고 강화도를 떠났다. 이후 삼별초는 서해안 요지를 공략하면서 남하하여 진도에 이르렀다. 그곳에 불변하고 오래가는 근거지를 두고 용장사를 행궁으로 삼았다. 그 뒤 용장사 주변에 산성을 쌓고 관아도 세웠으며, 제법 도읍지의 면모를 갖추고 삼별초는 활발하고 힘차게 움직였고 고려의 유일한 정통 조정이라고 주장했으며 당시 진도와 그 인근 지역에는 과거 최 씨 무신정권이 소유한 농장이 그때까지도 대규모로 존재했다. 그것과 동시에 경상도와 전라도 지방의 세곡이 수도로 운송되는 길목에 진도가 있었고 이것은 세곡으로 운반되는 식량과 자금을 자체 군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충지였다.


몽골제국과 진압군의 침략으로 1273년 원종 14년 음력 4월 탐라에서 결사 항전하던 삼별초도 무너지고 말았다. 1271년(원종 12년) 음력 5월 진압군이  진도를 침략하여 삼별초는 진도의 관문인 벽파진에서 중군을 막는 데 주력했지만, 삼별초가 중군을 방어하는 동안 좌군과 우군이 배후와 측면에서 기습하였다. 진도 정권이 수립된 지 9개월 만에 진도는 함락당하였다. 혼란에 빠진 삼별초는 순식간 무너졌고 배중손은 진도 남도진성에서 전사하였다. 


고려
삼별초의 항쟁은 고려 대몽항전의 최후를 장식한 것으로서 그 후 고려는 14세기 중반까지 원나라의 간섭에 시달렸다. 그러나 당시 고려 백성 중에서 삼별초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다.

 

 

 

 

2017년 제주 항몽유적지에서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濟州 缸坡頭里 抗蒙 遺蹟)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은 고려 원종 11년(1270) 2월 고려 조정이 몽고군과 강화를 맺고 강화에서 개경으로 환도하면서 시작된 원 간섭기에 최후까지 항쟁하다 원종 14년(1273) 전원 순의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곳으로, 1997년 4월 18일에 사적 제396호로 지정되었다.

지형은 남고북저를 하고 있는데, 북쪽인 경우 토성부근이 급격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동쪽은 완만하나 서쪽은 단애를 이루는 하천을 두고 있어 성을 쌓기에는 천연적으로 적합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전체적인 토질은 자갈이 약간 함유된 황갈색 토양으로 이뤄졌고, 토성을 쌓기에는 적합한 성질은 띤 토양이라 할 수 있다.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문화의 꽃 청자와 그외의 문화들  (1) 2022.10.28
고려의 문화  (1) 2022.10.27
몽골의침략과 고려의 항쟁  (2) 2022.10.25
고려의 정치 변화  (1) 2022.10.24
덕수궁 돌담길을 걸으며  (1) 2022.10.23

+ Recent posts